운곡집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목판본. 1권 1책. 29.8×19.4cm) 운곡충휘(雲谷冲徽, ?~1613)의 시집으로 조선 1633년(인조 11) 간행되었다. 발행지는 미상이다. 형식별로 5언절구 38편 42수, 7언절구 57편 69수, 5언율시 20편 23수, 7언율시 32편 37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1629년(인조 7) 계곡(谿谷) 장유(張維)가 쓴 서(序)가 있고, 권말에는 1633년에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이 쓴 발문이 있다. 내용의 대부분은 사찰 안에서의 생활과 수행에 관련된 것, 그리고 유생들과 교유하며 화답한 것들이며, 형식적으로는 당시 문인들이 즐겨 창작하던 절구와 율시로 이루어져 있다. 차운시의 경우도 원래의 시를 수록하여 교류하던 시인들의 면면을 볼 수 있으므로 문학사적으로도 좋은 자료가 된다. 조선에 들어서며 지식인들 사이에 승려를 홀대하는 경향이 있었음에도 종교적인 벽을 허물고 동반자로 여긴 유생들이 많았음을 이 시집을 통해 알 수 있다. 오산(五山) 차천로(車天輅), 지봉(芝峰) 이수광(李晬光), 동악 이안눌, 계곡 장유, 탄은(灘隱) 이정(李霆), 관해(觀海) 박유(朴濰) 등이 특히 두드러진 인물들이다. 장유가 쓴 『계곡집(谿谷集)』에는 「운곡시고서(雲谷詩稿序)」가 있는데, 『운곡집』에도 「운곡시고소서(雲谷詩稿小序)」라고 되어 있어서 명칭을 『운곡시고(雲谷詩稿)』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선조의 부마인신익성(申翊聖)은 발문에서 운곡을 선과 시에 구별이 없었던 승려로 찬양하고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