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융삼제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 격력삼제(隔歷三諦). 천태교학(天台敎學)의 근본 골자를 이룬 것이다. 다른 교학에서는 삼제(三諦)가 각각 고립(孤立)하고, 또 일방에 치우쳐 실재(實在)를 말함에 대하여, 이 삼제는 3과 1이 융통하여 상즉무애(相卽無礙)함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불차제삼제(不次第三諦)라고도 한다. 공제(空諦)라 하여도 가(假)와 중(中)을 여읜 단공(但空)이 아니고, 삼제가 상즉(相卽)한 공(空)이므로 이는 파(破, 부정)입(立, 긍정)절대라는 세 뜻을 포함한다. 공에는 유(有)의 사상을 부정하는 파유(破有)의 뜻도 있고, 공한 사상을 그대로 긍정하는 입공(入空)의 뜻도 있다. 이 공이 단파(單破)단립(單立)이 아니고 입(立)을 함께한 파(破), 파를 함께한 입, 곧 비파비립(非破非立). 역파역립(亦破亦立)의 파립(破立) 절대의 공[中]인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이 공제(空諦)에서 삼제를 원만히 갖춤을 즉공(卽空), 가제(假諦)에서 세 뜻을 원만히 갖추어 가제 그대로 공(空)가(假)중(中)의 삼제인 것을 즉가(卽假), 중제(中諦)가 그 당체에서 삼제의 뜻을 원만히 갖춘 것을 즉중(卽中)이라 한다. 천태교학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