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통암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경국사 뒤에 있던 사찰이다. 2)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산(道峰山)에 있는 사찰이다. 도선이 창건하였다. 3)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로 유점사의 산내 암자였다. 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고려산(高麗山)에 있던 암자이다. 청련사(靑蓮寺) 위쪽에 있기 때문에 세간에서는 두 절을 국정상하사(國淨上下寺)라고 불렀다. 1807년(순조 7)에 비구니 채화(采化)가 창건하였다. 5)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희양산에 있던 암자로 봉암사의 산내 암자였다. 6)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도락산에 있는 사찰로 나옹이 창건하였다. 7)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에 있던 사찰로 선운사의 산내 암자였다. 8) 전라북도 남원시 아방산에 있던 사찰이다. 9) 전라북도 정읍시 두순산에 있던 사찰이다. 10)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면 천관산에 있던 천관사에 속한 산내 암자였다. 11)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사찰이다. 표충사에 속한암자로 곧 대원암이다. 12)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에 있는 대흥사의 창건 당시 이름이다. 13) 경상북도 상주시 청계산 청계사 서쪽에 있던 사찰이다. 14)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만월산에 있는 사찰이다. 명주사에 속한 암자. 1781년(정조 5) 연파(蓮坡)가 창건. 15) 강원도 금강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로 표훈사에 속한 암자였다, 능인이 창건하였다. 16) 황해북도 개성시 천마산에 있던 사찰이다. 17) 황해북도 개성시 박연리 대흥동 천마산에 있던 암자이다. 18) 함경북도 길주군 장백면 성불산에 있던 보현사의 산내 암자였다. 19) 평안북도 태천군 송림산에 있던 사찰이다. 20) 평안남도 맹산군 동쪽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