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봉집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월봉책헌(月峯策憲, 1623~?)의 저서로 1703년(숙종 29) 전남 담양 추월산 용추사(龍湫寺)에서 개간하였다. 권1은 문(文) 10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법어 7편, 서(序) 1편, 논(論) 2편이며, 마음과 선교(禪敎)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피력하고 있다. 권2는 오언송 7편, 오언율 8편, 오언시 11편, 칠언시 15편 등으로 총 41편 54수의 시에서 참선교학염불 수행으로 마음의 주인공을 찾을 것을 권면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권3은 부(賦) 1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음의 주인공을 강조하고 자신이 살아온 수행 역정을 시로써 읊고 있다. 글에서 저자는 참선 우위의 수행 풍토를 비판하고, 선교정토의 균형 있는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강학 풍토와 염불 신앙의 확산에 영향받은 것으로 생각되며, 18세기 불교계의 보편적 수행 방법인 삼문수학적(三門修學的) 경향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