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허집
본문
한자1
[括虛集]
한자2
ⓢ
ⓟ
ⓣ
뜻(설명)
2권 1책. 조선시대 괄허취여(括虛取如, 1720~1789)의 시문집. 목활자본. 권두에 김성근(金聲根)·허훈(許薰)·함홍치능(涵弘致能)의 서문이 실려 있고, 권1에는 사(辭) 3편, 고시 6편, 5언절구 23편, 7언절구 46편, 5언율시 19편, 7언율시 26편 등의 시가 실려 있으며, 권2에는 30편의 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괄허대사행장(括虛大師行狀)」과 「괄허대화상유고후발(括虛大和尙遺稿後跋)」이 실려 있다. 경북 문경 김룡사(金龍寺) 양진암(養眞庵)에서 후학 혜운(惠雲)과 치민(致敏) 등이 유고를 모아 1888년(고종 25) 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