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유가파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유가행파(瑜伽行派, Yogācāra)이다. 4세기경 인도의 미륵과 무착의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서 시작한 학파이다. 유가행파는 유식파(唯識派), 유식종(唯識宗), 유가행유식학파(瑜伽行唯識學派) 등으로 불린다. 『중론』을 기본으로 하는 중관학파와 대립하거나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달하였다. 호흡을 조정하고 마음을 가다듬는 등의 지관(止觀) 수행을 통해 바른 이치[正理]와 상응(相應)하려고 하는 유가행을 실천하였다. 유가행파는 유가행을 바탕으로 아뢰야식을 토대로 한 새로운 심식(心識)과 이에 따른 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중관파에서 주장하는 반야의 공사상(空思想)을 보충하였다. 일체의 존재는 심식(心識)의 변천으로 마음만이 실재라고 보는 유식설(唯識說)을 세웠다. 미륵(彌勒)의 『유가사지론』,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大乘論)』, 세친의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십지경론(十地經論)』『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이 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이다. 인도 불교의 유가행파에 대응하는 중국한국 또는 일본불교의 종파로는 『십지경론』을 소의로 하는 지론종(地論宗), 『섭대승론』을 소의로 하는 섭론종(攝論宗), 『성유식론(成唯識論)』을 소의로 하는 법상종(法相宗)이 있다. 2) 인도 6대 철학 중 하나이다. 파탄잘리(Patānjali)를 교조(敎祖)로 한다. 학파로 성립된 시기는 BCE 450~350년경이다. 수론파(數論派)의 학문적 이론을 이어받아 그 실제적 방면을 발전시키고, 관행명상(觀行冥想)하는 힘에 의하여 자재신(自在神, Iśvara)과합일(合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경(瑜伽經)』은 이 학파의 성전(聖典)으로서 관행하는 방면을 가르친 것이다. 이 학파는 지금도 성행하며 학파라기보다는 실천법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