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광덕사

본문

한자1
[廣德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시흥군 동면 안양리에 있던 사찰. 2)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태화산에 있는 사찰. 3)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에 있는 사찰. 현재 대한불교 법화종의 사찰이다. 고려시대에 창건하고 조선시대에 중창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창건주나 창건 시기 및 창건 배경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문화재로는 고려시대 석불인 증평 광덕사석조여래입상(曾坪光德寺石造如來立像, 충청북도 유형문화재)이 있다. 이 절이 폐사된 상태에 있었을 때도 부근 마을 사람들이 이 석불을 찾아와서 예불하고 공양하였다고 하며, 미륵당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한때 이 절을 천광사(天光寺)라고도 불렀으며, 1949년에 이묘련(李妙蓮)이 석불의 현몽을 얻고 초암 3칸을 세우면서 재건하여 이곳의 지명을 따서 광덕사라 하였다. 4)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서산(西山)에 있는 사찰. 1925년 동학 상주지구 접주였던 해운당(海雲堂) 배순광(?~1954)이 불교에 귀의하여 창건한 사찰로 절에 전하는 「광덕사기(廣德寺記)」에도 창건 관련 내용이 나와 있다. 1974년에 대한불교 법화종 말사로 등록하였고, 1988년에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 1952년에는 수운 최제우의 ‘도덕연원영세불망비’를 세우고 이후 매년 천제를 올리고 있다. 5) 강원도 안변군 오압산에 있던 사찰. 6)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