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론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권. K613, T1588. 동위(東魏)시대에 구담 반야유지(瞿曇般若流支, Gautama Prajñāruci)가 538년에서 543년 사이에 업성(鄴城)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능가경유식론』『능가유식론』『대승능가경유식론(大乘楞伽經唯識論)』『대승유식론』『유식무경계론』『유식무경론(唯識無境論)』『파색심론(破色心論)』이라고도 한다. 식(識)뿐이며 경계(境界)는 없다고 논한다. 세친(世親)이 저술하였으며, 이역본으로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대승유식론(大乘唯識論)』 등이 있다. ⇨ 유식이십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