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중도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법상종(法相宗)에서 일체 만법은 아뢰야식의 변한 바로서 비유비공(非有非空)의 중도라고 하는 뜻이다.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타기성(依他起性)원성실성(圓成實性)의 3성(三性)에서 본다면 변계는 공(空), 의타와 원성은 유(有)이다. 변계를 고집하는 법은 모두 허망한 영상(影像)이고, 실유(實有)한 법이 아니므로 이것을 정유이무(情有理無)라 하고, 실성의 종자로부터 변하여 생긴 의타기의 제법은 상주(常住)하는 실재(實在)는 아니나 무(無)라고도 할 수 없으므로 여환가유(如幻假有)라 한다. 그러나 원성실성의 진여(眞如)는 진공묘유(眞空妙有)의 법, 그 체는 공적(空寂)하지만 진실 원만한 실재이다. 일체 만법은 모두 이 3성을 가진 것이므로 공(空)유(有)의 양면이 있는 것으로 유라고도, 공이라고도 단정할 수 없으므로 이것을 비유비공의 중도라 한다. 이렇게 삼성을 상대하여 의논하는 것을 삼성대망(三性對望)의 중도라 한다. 또 3성에 대하여 각각 논의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은 정유이무, 의타기성은 여화가유, 원성실성은 진공묘유이므로 모두 제각기 비유비공이어서 중도이다. 이것을 일법중도(一法中道)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