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544~1610) 조선의 승려로 자는 이환(離幻), 호는 송운(松雲), 또는 사명(四溟)이라 한다. 속성은 임(任)씨, 밀양에서 출생. 13세에 『맹자(孟子)』를 읽다가 출세할 뜻을 품었고, 뒤에 황악산 직지사 신묵(信黙)을 찾아가 출가하였다. 18세에 선과(禪科)에 급제, 32세에 선종의 주지가 되었으나 굳이 사양하였다. 묘향산에서 청허의 정법을 받았다. 금강산 보덕사에서 3년을 지내고, 또 청량산팔공산태백산으로 다녔다. 43세에 옥천산 상동암에서 하룻밤 소낙비에 뜰에 있는 꽃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무상을 절실히 깨달아 문도(門徒)들을 보내고 오랫동안 참선하였다. 46세에 오대산 영감난야(靈鑑蘭若)에 있다가 역옥(逆獄)에 잘못 걸렸으나 무죄 석방되었다. 이듬해 금강산에서 3년을 지낸다. 1592년 왜구(倭寇)가 침입하여 의병을 모집하고 순안(順安)에서 승군을 통솔하였다. 명나라 장수와 협력하여 평양을 회복하고 권율(權慄)을 따라 영남 의령에 주둔하는 등 전공이 많았다. 1594년에는 명나라 총병 유정(劉綎)과 의논하여 왜장 가토 기요마사를 울산 진중으로 세 번 방문하게 하였다. 그때 가토 기요마사가 “조선에 보배가 있는가?”라고 하자 스님은 “없다. 보배는 일본에 있다.” 하였다. 가토 기요마사가 “무슨 말인가?”라고 묻자, 스님이 “지금 우리나라에서 당신의 머리를 보배로 생각하고 현상하였으니 보배가 일본에 있는 것 아닌가?” 하였으니, 가토 기요마사가 놀라 찬탄하였다. 선조가 스님을 내궐로 불러들여 평생의 일을 묻고 “지금 국세가 이러하니 대사가 만일 퇴속한다면 백리(百里)의 책임을 맡기고 3군을 통솔하게 하리다.”하였으나 유정은 사양하였다. 영남으로 돌아가서 용기산성팔공산성금오산성 등을 쌓고 양곡과 무기를 저축한 후 인신(印信)과 전마를 도로 바치고 산으로 물러가기를 청하였으나 조정에서 허락하지 않았다. 1597년 명장 마귀(麻貴)를 따라 울산의 도산에 이르고, 이듬해 또 유정(劉綎)을 따라 순천의 예교(曳橋)에 이르러 큰 공을 세웠다. 1604년 국서(國書)를 받들고 일본에 가서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보고 “두 나라 백성들이 오랫동안 전란에 시달렸으니 내가 그 고난을 구제하러 왔노라.” 하였다. 도쿠가와도 신심을 내어 부처님같이 대우하여 강화를 맺고, 스님은 포로로 잡혀갔던 3,500명을 데리고 이듬해 돌아왔다. 선조는 가상히 여겨 가의대부(嘉義大夫)를 시키고 어마(御馬)와 저사표리(紵絲表裏)를 하사하였다. 그때는 청허가 입적한 이듬해였다. 스님이 묘향산에 가서 상례를 치르고 1607년 치악산으로 갔다가 선조의 부고를 듣고 서울에 와서 배곡하였다. 후에 병이 나서 해인사로 갔다가 1610년(광해주 2) 8월 26일에 세수 67세, 법랍 55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저서는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사명집(四溟集)』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