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이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불교에서 정도에서 벗어난 외도의 여러 주장을 분류하여 62가지로 한 것이다. 2) 본겁본견(本劫本見)말겁말견(末劫末見)에 대한 여러 가지 말을 62종으로 나누었다. 본겁(本劫)은 과거시, 본견은 과거에서 상견(常見)을 일으킨 것이다. 말겁(末劫)은 미래, 말견은 미래세에서 단견(斷見)을 일으킨 것이다. 본겁본견의 설을 18로, 말겁말견의 설은 44종으로 하여 62견이 된다. 3) 과거현재미래의 삼세(三世)에 각각 오온(五蘊)이 있어, 모두 15가지가 되고, 낱낱이 4구(句)의 이견(異見)이 있어 합하여 60견(見)이 되며, 근본인 단(斷)상(常) 2견을 더한 것이다. 4) 오온(五蘊)삼세(三世)의 곱하는 방식은 3)과 같고, 4구(句)의 방식을 달리하여 이 4구로써 삼세의 오온에 일관하여 62견으로 한다. 5) 4구의 해석은 3)과 같고, 4구와 삼세(三世)의 배대를 달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