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전의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법상종(法相宗)에서 전의(轉依)를 얻는 지위를 따라서 6종으로 분류한 것이다. (1) 손력익능전(損力益能轉): 자량위(資糧位)가행위(加行位)의 전의로서 이 위에서는 번뇌장(煩惱障)소지장(所知障)을 끊지 못하고, 진여(眞如)를 얻지 못하였으므로 진정한 전의는 아니나, 승해(勝解)참괴(慙愧)의 2력(二力)에 의하여 본식(本識) 중 염종자(染種子)의 세력을 덜어내고 정종자(淨種子)의 세력을 더하므로 전의라 하였다. (2) 통달전(通達轉): 통달위(通達位)의 전의로서 견도무분별지(見道無分別智)로 분별기(分別起)의 2장(二障)을 끊고, 일분(一分)의 진실한 전의를 증득하는 것이다. (3) 수습전(修習轉): 수도위(修道位)의 전의로서 십지(十地)의 무분별지를 자주 닦아 익혀 구생기(俱生起)의 2장을 끊고, 점차로 진실한 전의를 증득하는 것이다. (4) 과원만전(果圓滿轉): 줄여서 원만전이라고 하며 구경위(究竟位)의 전의로서 일체의 번뇌장소지장의 종자를 끊고 불과가 원만한 전의이다. (5) 하열전(下劣轉): 이승위(二乘位)의 전의로서 이승의 자리(自利)하는 생각으로 생공진여(生空眞如)만을 통달하고, 번뇌장의 종자를 끊었으나 소지장의 종자에는 미치지 못하고, 생공(生空)의 이지(理智)를 얻었을 뿐으로 수승한 능력이 없는 것이다. (6) 광대전(廣大轉): 대승위(大乘位)의 전의로서 이타(利他)를 하기 위해 대보리(大菩提)에 나아가 이공진여(二空眞如)를 갖추어 통달하여, 이를 통해 2장(二障)의 종자를 끊고, 대보리와 대열반을 돈증(頓證)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