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육종성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보살이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에서 각 수행에 따라 다다를 수 있는 소질을 여섯 가지로 나눈 것이다. (1) 습종성(習種性): 십주위(十住位)로 공관(空觀)을 연습하여 견혹(見惑)사혹(思惑)을 깨뜨리는 소질[性]이다. (2) 성종성(性種性): 십행위(十行位)로서 공(空)에 머물지 않고, 나아가 가성(假性)을 분별하는 소질이다. (3) 도종성(道種性): 십회향위(十廻向位)로서 중도(中道)의 묘관(妙觀)을 닦아 온갖 불법을 통달하는 소질이다. (4) 성종성(聖種性): 십지위(十地位)로 중도의 묘관에 의하여 무명(無明)의 일분을 깨뜨리고 성위(聖位)에 다다른 소질이다. (5) 등각성(等覺性): 다음의 묘각(妙覺)에 대하여 오직 한 등급(等級)의 차가 있을 뿐으로 불과에 이르기 이전의 단계이다. (6) 묘각성(妙覺性): 단증(斷證)이 끝나고 원만한 깨달음에 이른 불과(佛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