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파철학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인도의 바라문교에서 정교(正敎)라고 여기는 6종의 철학파를 말한다. 베다 문명에서 길러진 인도의 사상계는 우파니샤드의 철학을 내어 인도 종교의 근저(根柢)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인생 문제우주 문제 등에 관하여 여러 가지 사상학설이 성행하게 되었고, 이는 6가지 철학의 성립 근거가 되었다. 설은 바라문교의 근본 성전인 베다우파니샤드 등과 서로 용납되지 않으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이들을 모두 바라문교의 정교라고는 할 수 없다. 6파(六派)는 그 기원성립의 연대가 다르기 때문에 그것을 낱낱이 확정할 수는 없으나 BCE 5세기경부터 3세기경까지 학파들이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학파파조(派祖)와 그들이 저술한 경전 등은 다음과 같다. (1) 샹키야[Sāṃkhya, 수론파(數論派)]는 가비라(伽毘羅)가 파조이고 『수론경(數論經)』이 경전이다. (2) 요가[Yoga, 유가파(瑜伽派)]는 파탄잘리가 파조이고 『유가경(瑜伽經)』이 경전이다. (3) 미맘사[Mīmāṁsā, 성론파(聲論派)]는 쟈이미니가 파조이고 『미만살경(彌曼薩經)』이 경전이다. (4) 바이셰시카[Vaiśeṣika, 승론파(勝論派)]는 가나타(迦那陀)가 파조이고 『승론경(勝論經)』이 경전이다. (5) 베단타[Vedānta, 베단다파(吠檀多派)]는 파다라야나가 파조이고 『베단다경(吠檀多經)』이 경전이다. (6) 니야야[Nyāya, 정리론파(正理論派)]는 족목(足目)이 파조이고 『정리경(正理經)』이 경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