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적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전라북도 군산시 소룡동에 있는 사찰. 백제시대 사찰로 전라북도 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천방사(千房寺), 선림사(禪林寺) 등의 사명을 갖기도 했는데, 613년(무왕 14년) 신라의 원광법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952년(광종 3) 정진국사가 중창, 1373년(공민왕 22) 나옹화상에 의해 2차 중창, 1781년(정조 5) 보경에 의해 중건, 1937년 허옹이 재중건하였다. 2)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 있는 사찰로 은적암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1195년(명종 25) 보조지눌이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관명루에는 1618년(광해군 10), 1790년(정조 14), 1857년(철종 8) 등 3번에 걸쳐 개수된 상량문이 전한다. 3) 전라남도 고흥군 운람산(雲嵐山)에 있던 사찰이다. 4)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는 사찰로 926년(경애왕 3)에 영조대사(靈照大師)가 창건하였으며, 고려 태조가 몸을 숨겼던 곳이라서 은적사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은적사(隱蹟寺)라고도 표기하는데 1644년(인조 22)에 취감대사(就甘大師)가 중창, 1947년에 종원(宗源)이 중건하였다. 5) 강원도 원주시에서 60리 되는 미륵산에 있던 사찰이다. 일명 은적암이다. 6) 강원도 통천군에 있던 은적사(隱跡寺)의 다른 이름이다. 7) 강원도 평강군 청룡산에 있던 사찰이다. 일명 청룡사(靑龍寺)이다. 8) 함경남도 원산시 반룡산에 있던 사찰이다. 9) 함경남도 흥원군 호현면 두무산에 있는 사찰이다. 10) 함경남도 단천시에서 북쪽 60리에 있던 사찰이다. 11) 함경북도 부령군 쌍계산에 있던 사찰이다. 12) 평안남도 안주시 대니면에 있던 사찰이다. 13) 황해북도 평산군 감악산에 있던 사찰이다. 14) 황해남도 해주시 수양산성 안에 있던 사찰이다. 15) 황해남도 해주시 자단산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