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권. K706, T82.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266년에서 31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였다. 한 비구가 무엇 때문에 세상에 끌려오고 무엇 때문에 고통받으며 무엇 때문에 윤회에 들어가는가에 대하여 부처님께 여쭈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의(意) 때문에 세상에 끌려와서 고통을 받고 윤회하게 되나, 많이 아는 비구는 스스로 자신의 의를 제어하여 의를 따르지 않는다고 설하신다. 많이 아는 비구란 계(契)가(歌)기(記)게(偈)소인(所因)법구(法句)비유(譬喩)소응(所應)생(生)방등(方等)미증(未曾)법설(法說)의 십이부경을 아는 비구를 말한다. 또한 부처님께서는 많이 듣고 지혜가 빠른 비구의 의미와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말솜씨가 뛰어난 비구의 의미 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하신다. 이 경의 사상이 기원 후 유식 사상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역본으로 『중아함경(中阿含經)』 제172 『심경(心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