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의상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625~702) 신라시대의 승려로 신라의 왕족이며 속성은 김씨이다. 관세(15세 전후)에 황복사에서 출가하였다. 당나라의 불교가 융성함을 듣고, 650년 원효와 함께 중국에 가려고 요동까지 갔으나 실패하고 되돌아왔다. 660년에 다시 원효와 함께 당나라에 유학하고자 하였으나, 당주계(唐州界)에서 원효는 중간에 유심(唯心)의 도리를 깨달아 돌아오고, 의상은 당나라에 갔다. 처음은 양주에 있다가 661년 종남산 지상사 지엄(智儼)에게서 현수(賢首)와 함께 『화엄경』을 연구하였다. 신라의 사신 김흠순(金欽純)을 당나라에서 가두고 신라를 치려 하자, 의상은 670년 본국에 돌아와 그 사실을 보고하였다. 왕이 신인종(神印宗)의 명랑(明朗)법사를 청하여 기원하여 무사하였다. 676년(문무왕 16) 태백산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현수가 『화엄수현기(華嚴搜玄記)』를 짓고 부본(副本)을 보내면서 편지한 것이 지금 유전하고 있다. 화엄종의 10찰(十刹)을 짓고, 『화엄경』을 홍전(弘傳)하였다. 화엄십찰은 태백산 부석사, 원주 비마라(毘摩羅), 가야산 해인사, 비슬산 옥천사, 금정산 범어사, 지리산 화엄사 등을 말한다. 저서로는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일승발원문(一乘發願文)』『백화도량발원문(白華道場發願文)』『투사례(投師禮)』등이 있다. 성덕왕 1년 세수 78세로 입적하였다. 해동 화엄종의 초조(初祖)이며 도제는 오진(悟眞)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眞定)진장(眞藏)도융(道融)양원(良圓)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 10명이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