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의적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신라시대의 승려로 의상(義湘)의 십대제자의 한 명이다. 혹은 현장(玄奘)의 문인이라 한다. 저서는 『열반경강목(涅槃經綱目)』 2권, 『열반경의기(義記)』, 『열반경운하게(云何偈)』, 『법화경료간(法華經料簡)』1권, 『법화경집험기(集驗記)』, 『성유식론미상결(成唯識論未詳決)』, 『대승의림장(大乘義林章)』, 『대무량수경소(大無量壽經疏)』, 『관무량수경강요(觀無量壽經綱要)』3권, 『법화경강목(法華經鋼目)』 1권, 『백법론총술기(百法論總述記)』 3권, 『금강반야경찬(金剛般若經讚)』1권, 『마명생론소(馬鳴生論疏)』1권 등이 있다. 현재까지 전하는 것은 『범망경보살계본소(梵網經菩薩戒本疏)』가 있다. 2) (919~987) 중국의 승려로 자는 상조(常照), 호는 나계존자(螺溪尊者)이다. 속성은 호(胡)씨, 온주 영가 사람이다. 천태종의 중흥조(中興祖)로 12세에 출가, 19세부터 회계의 청율사(淸律師)에게 3년간 『남산초(南山鈔)』를 배우고, 다음에 천태산에 들어가 청송(淸竦)에게 천태의 교관(敎觀)을 이어받았다. 당시 안록산의 난과 무종의 회창(會昌)의 폐불훼석(廢佛毁釋)을 만나 천태의 전적(典籍)이 상당부분 유실되었으므로, 우리나라와 일본에 사자를 파견하여 이를 구하고 연구하여 강학과 선전에 힘썼다. 또 오월왕(吳越王)의 명으로 『화엄경』을 강하여 정광대사(淨光大師)의 호와 자의(紫衣)를 받고, 955년(현덕 2) 전교원(傳敎院)의 개산조(開山祖)가 되었다. 987년(응회 4) 11월에 세수 69세로 입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