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의천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1) 만유 제법의 공한 이치를 깨달은 사람을 말한다. 곧 십주(十住) 등의 보살이다. 2) (1055~ 1101) 고려시대의 승려로 이름은 후(煦), 자는 의천(義天)이다. 고려 천태종의 중흥조(中興祖)이다. 문종의 넷째 아들로 11세에 왕사(王師) 난원(爛圓)에게 출가하여 영통사에 있었다. 15세에 우세(祐世)라 호하여 승통(僧統)이 되고, 1085년 미복(微服)으로 송나라에 갔다. 철종제(哲宗帝)가 계성사에 있게 하고, 화엄법사 유성(有誠)을 불러 상종케 하였다. 현수천태의 판교동이(判敎同異)와 양종의 유묘(幽妙)한 뜻을 문답하였다. 또 상국사의 원조종본(圓炤宗本)과 흥국사의 서천 삼장(三藏) 천길상(天吉祥)에게 참학, 양걸(楊傑)과 함께 경사(京師)를 출발, 금산의 불인요원(佛印了元)을 찾고, 항주의 정원혜인(淨源慧因)에게 『화엄소초(華嚴疏鈔)』의 궁금한 내용을 물었다. 이때에 선종(宣宗)이 의천에게 환국을 청하니, 자변(慈辯)에게 천태종의 경론을 듣고 천태산 지자(智者)의 부도에 예배하였다. 천태종을 본국에 중흥하려는 발원문을 고하였다. 또 영지(靈芝)의 대지(大智)에게 계법(戒法)을 받고 1086년 본국에 돌아와 석전(釋典)과 경서 1천 권을 바쳤다. 흥왕사에 있으면서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요나라송나라일본에서 경전을 구입하고 고서(古書)를 수집하여 4,740여 권을 수집 간행하였다. 1094년 흥원사에 있었고, 뒤에 해인사에 갔다가 다시 흥왕사에 있었으며, 또 국청사에서 천태교를 강설하였다. 1098년 다섯째 왕자 증엄(證儼)을 제도하여 제자를 삼았다. 1101년(숙종 6) 국사가 되고, 10월 5일에 입적한다. 세수 47세, 법랍 36세였다. 시호는 대각국사이며 비를 영통사에 세우고, 또 남숭산 선봉사에도 해동천태시조대각국사비를 세웠다. 3) (1603~1690) 조선시대의 승려로 속성은 문씨, 선산 사람이다. 11세에 속리산 복천암에 들어가 진정탁린(塵靜琢璘)에게 출가하였다. 14세에 금강산 정양사에 가서 편양(鞭羊)에게 배알(拜謁)하고 16세에 승려가 되고 구족계를 받았다. 팔공산 동화사에서 송계성현(松溪性賢)에게 경론을 배우고, 21세에 청량산에 들어가 31년 동안 곡식을 끊었다. 후에 어머니의 강권으로 다시 곡식을 먹었다. 해인사의 백련암에서 세수 88세로 입적하였다. 네 곳에 환적암(幻寂庵)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