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첨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746~1796) 속성은 이(李)씨이며 자는 자의(子宜), 호는 인악(仁岳). 편양문파(鞭羊門派)의 선승(禪僧)으로 일명 의소(義沼), 대구 달성(達城) 출신으로 부친은 이휘징(李徽澄), 모친은 달성 서 씨이다. 8세에 『소학(小學)』을 배우고 15세에 삼경(三經)을 독파해 문장가로 이름이 알려졌다. 18세에 용연사(龍淵寺) 가선헌공(嘉善軒公)에게 출가, 22세에 벽봉덕우(碧峰德雨)에게 구족계를 받고 『금강경』『능엄경』등을 배웠다. 상언(尙彦)에게서는 『화엄경』『선문염송(禪門拈頌)』을 배웠는데, 외전(外典)에도 통달하여 유생(儒生)들에게 역(易)을 풀어 설강하기도 하였다. 서악(西岳)추파(秋波)농암(聾巖)설파(雪坡) 등에게 배웠고, 이후 강백으로 활동하며 많은 사기(私記)를 지었다. 1790년 수원 용주사(龍珠寺) 창건 시 정조의 명으로 증명법사가 되어 개안의식(開眼儀式)을 주재하였고, 「불복장봉안문(佛腹藏奉安文)」 등을 지었다. 비슬산 명적암(明寂菴)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 문집 외에 『능엄경사기(楞嚴經私記)』, 『원각사기(圓覺私記)』, 『금강경팔해경(金剛經八解鏡)』, 『십지기(十地記)』, 『화엄경사기(華嚴經私記)』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