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이력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우리나라에서 승려가 강당에서 경논을 공부하는 것을 이력을 본다고 한다. 아침저녁으로 다음의 경과 논을 공부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사미과(沙彌科): 『사미율의(沙彌律儀)』『반야심경(般若心經)』『예참(禮懺)』『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치문경훈(緇門經訓)』으로 1~2년이다. (2) 사집과(四集科): 『서장(書狀)』『도서(都序)』『선요(禪要)』『절요(節要)』로 2년이다. (3) 사교과(四敎科): 『능엄경(楞嚴經)』『기신론(起信論)』『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원각경(圓覺經)』으로 4년이다. (4) 대교과(大敎科): 『화엄경(華嚴經)』『선문염송(禪門拈頌)』『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으로 3년이다. 이러한 과정이 언제부터 비롯하였는지 확실치 않으나 벽계정심(1400년경)으로부터 백암성총(1700년경)까지 300년 동안에 점차로 완비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