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의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필사본. 1권 1책. 신라 고승 원효(元曉, 617~686)의 저술로 발행 사항은 미상이다. 오초 에니치(橫超慧日)무라마쓰 호우분(村松法文) 편저로 『新羅 元曉撰 二障義』(1979년, 平樂寺書店)가 출판되었다. 최근 오타니대학 소장본보다 시기적으로 조금 앞서고, 오타니대학 소장본의 교정본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큰 치샤쿠인(智積院) 소장본이 알려져 있다. ‘기신론 이장장(起信論二障章)’이라는 다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완전히 독립된 저술이 아니라 『기신론별기(起信論別記)』와 『기신론소(起信論疏)』의 중간에 집필된 것으로 『기신론』의 이애설(二?說)을 명확히 하기 위해 찬술되었다. 따라서 원효의 『기신론』 관련 주석서에 속하는 1편이자 신구 유식학의 번뇌설을 별도로 집성한 독자적인 저술로도 평가된다. 원효(元曉)는 이 책에서 수행 중에 나타나는 혹장(惑障)을 두 종류로 나누어 논문체로 설명한다. 번뇌를 인집(人執)의 측면에서 볼 때 열반의 과(果)를 장애하는 것을 번뇌장이라고 하고, 지식을 법집(法執)의 측면에서 볼 때 보리의 과를 장애하는 것을 소지장이라고 한다. 『기신론』과 유식 사상은 이 두 종류의 번뇌에 대한 분석과 치단론(治斷論)을 각기 제시하는데, 이 책은 양자의 이장(二障)에 대한 견해를 『기신론』의 입장에서 회통시킨다. 『이장의』는 『기신론』 계통의 번뇌설과 신유식 계통의 번뇌설을 각각 은밀문(隱密門)과 현료문(顯了門)의 범주로 나누어 접근한다. 전체적으로는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석명의(釋名義): 이장의 명칭과 의미에 대해 분석하는 부분. (2) 출체상(出體相): 번뇌의 본질과 양상을 논하는 부분. (3) 변공능(辨功能): 번뇌의 공능을 밝히는 부분. (4) 섭제문(攝諸門): 번뇌의 분류 양상을 여섯으로 구분해서 밝힌 부분. (5) 명치단(明治斷): 번뇌의 치단을 논하는 부분. 6) 총결택(憁決擇): 문답으로 번뇌와 그 치단에 관한 논의를 결택하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