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오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조선시대의 승려로 호는 청매(靑梅)이고 지리산 연곡사 승려이다. 1617년(광해군 9) 왕명으로 벽계(碧溪)벽송(碧松)부용(芙蓉)청허(淸虛)부휴(浮休) 5대사의 초상을 그려 조사당(祖師堂)에 모시고 제문(祭文)을 지어 봉사(奉祀)하였다. 또 10무익송(十無益頌)을 지었는데, 다음과 같다. (1) 마음을 반조하지 않으면 경전을 보는 것이 무익[心不返照看經無益]. (2) 자성이 공한 줄을 알지 못하면 좌선이 무익[不達性空坐禪無益]. (3) 정법을 믿지 않으면 고행이 무익[不信正法苦行無益]. (4) 아만을 꺾지 못하면 법을 배워도 무익[不折我慢學法無益]. (5) 스승 노릇 할 만한 덕이 없으면 중생 제도가 무익[欠人師德濟衆無益]. (6) 참다운 덕이 없으면 겉치레가 무익[內無實德外儀無益]. (7) 마음이 진실하지 못하면 말 잘하는 것도 무익[心非信實巧言無益]. (8) 인을 짓지 않고, 과보만 희망하면 구도가 무익[輕因望果求道無益]. (9) 뱃속에 든 것이 없으면 아만이 무익[心腹無識我慢無益]. (10) 일생토록 괴각만 부리면 대중에 있어도 무익[一生乖角處衆無益]. 저서는 『청매집(靑梅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