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법중도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일법(一法)에 비유비공(非有非空)의 중도의 이치가 있다는 말이다. 삼성(三性)을 비교하여 의논하는 삼성 대망(對望)의 중도가 아니고, 삼성마다 중도의 이치가 있다는 것이다. 곧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 가상(假象)은 우리의 정(情)으로는 있으나 이(理)로 보면 없는 것이므로 중도의 뜻이 있고, 의타기성(依他起性)인 현상은 인연소생(因緣所生)인 것이므로 가유(假有)이고, 본체가 아니므로 무성(無性)이어서 중도의 뜻이 있고, 원성실성(圓成實性)은 실재 즉 진유(眞有)로서 특정한 개성이 없고, 우주에 변재(遍在)함으로 무상(無相)이어서 중도의 뜻이 있다고 한다. 『북사전(北寺傳)』에 비하여 『남사전(南寺傳)』에는 1색(色) 1진(塵)의 위에 변계(遍計)의 무(無)의 뜻과 의타(依他)원성(圓成)의 유(有)의 뜻이 있고, 비유비공의 중도의 뜻이 있는 것을 일법중도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