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족파삼관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삼관(三關)은 삼중(三重)의 관문(關門)이다. 족(鏃)은 화살촉을 의미하므로 일족은 한 대의 화살이란 뜻이다. 난공불락의 삼처(三處) 관문을 한 대의 살로써 일시에 뚫어 함락한다는 뜻으로 학인의 역량과 수완이 가장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일종 일중(日中)의 변한 말인 듯이다. 하루에 한 끼니만 먹는 행이다. 우리나라에서 불제자(특히 신도)들은 해마다 1월5월9월의 1일과 15일을 일종하는 날이라 하여, 1월에는 묘시(卯時)에, 5월에는 진시(辰時)에, 9월에는 사시(巳時)에 한 끼만 먹고, 그 밖에는 아무것도 먹지 않는 풍습이 있었다. 이렇게 하면 여러 겁에 지은 죄업을 소멸하고, 내생에 복을 받아 수천 석의 양식을 저축하게 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1월5월9월은 삼장재월이기때문인데 『지론(智論)』에 “제석천왕이 천중들을 거느리고 1월 1일부터 큰 보배 거울로 남섬부주를 비추면서그곳 중생들의 선악행을 기록하고, 2월에는 동불바제, 3월에는 북구로주, 4월에는 서우화주를 비춰 보고, 역시 중생들이 선악행을 관찰하였으며, 5월에는 다시 남섬부주를 비추고, 또 그렇게 돌아서 9월에 다시 남섬부주를 비추기 때문에 이럴 때마다 그주(洲)에 있는 중생들은 선한 일을 닦아야 한다.”고 한 데서 비롯된 듯하다. 본래는 해당 3개월의 전반삭(前半朔: 1일~15일) 동안에 하루 한 끼의 풍습을지켜야 하지만 보름 동안을 계속할 수 없으므로 첫 날과 마지막날인 1일과 15일에만 일종을 하게 되었다. 이 날은 부처님법과 같이 오시(午時:日中)에 한 번만 먹고, 팔관재를 지키는 것이 원칙이나지금은 흔히 일중식하는 것만 지킨다. ⇨ 삼장재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