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일지암문집

본문

한자1
한자2
뜻(설명)
(필사본, 2권 1책) 조선 후기 승려 초의의순(草衣意恂, 1786~1866)의 저술로 1890년(고종 27) 발행하였다. 발행지는 미상이다. 1890년 문인 월여범인(月如梵寅)이 산일되어 있던 문장을 모아 편집하고, 원응계정(圓應戒定)이 정서해서 만들었다. 『한국불교전서』에 본 문집을 수록할 때 제10책의 『초의시고(艸衣詩藁)』에 이미 실렸던 문장은 빼고 수록하였기 때문에 『한국불교전서』의 『일지암문집』은 저본인 범인본과는 체제와 차서가 완전히 다르다. 『한국불교전서』의 권1에는 시 2편과 문 12편이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문 2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의 부록에는 「초의화상게(艸衣畵像偈)」와 「초의대사탑명병서(艸衣大師塔銘竝書)」 2편을 더 수록하였다. 권1 처음에 있는 시 〈차북산목관운(次北山牧官韻)〉과 〈정양화여청량사아집운견기부화답지(晶陽和余淸凉寺雅集韻見寄復和答之)〉 2수는 범인본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비해 필사본에는 권1에 소(䟽) 3편, 상량문(上樑文) 4편, 기(記) 5편, 서문(序文) 8편, 발문(跋文) 2편 등 모두 22편의 문장이 수록되어 있고, 권2에는 발문 5편, 모연문(募緣文) 2편, 권선문(勸善文) 1편, 보살계패규(菩薩戒牌規) 1편, 법문(法文) 1편, 제문(祭文) 9편, 축문(祝文) 2편, 영찬(影贊) 3편, 서간문(書簡文) 6편 등 모두 30편의 문장이 실려 있다. 그리고 부록으로 신헌(申櫶)이 쓴 「초의대종사탑비명(艸衣大宗師塔碑銘)」과 「초의화상게(艸衣畵像偈)」, 송파거사(松坡居士) 이희풍(李喜豐)이 쓴 「초의대사탑명(艸衣大師塔銘)」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고, 끝에 대승계(大乘戒)를 받은 「수대승계자명(受大乘戒者名)」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