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당대사행장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책. 백곡처능(白谷處能, 1617~1680)이 1657년(효종 8) 4월 16일 지리산 칠불암(七佛菴)에서 임성당(任性堂, 1567~1638)대사의 일생을 기록한 글로 1657년 이후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발행지는 미상이다. 임성당대사는 호가 충언(冲彦 또는 忠彦)으로 정관일선(靜觀一禪, 1533~1608)의 제자이다. 1567년(명종 22) 12월 19일 태어났으며, 18세에 출가하였다. 21세에 전북 완주 대둔산(大芚山)으로 들어가 정관일선을 스승으로 모시고 공부했다. 스승의 지도하에 호연태호(浩然太浩), 무염계훈(無染戒訓), 운곡충휘(雲谷冲徽) 등 여러 스님과 함께 공부했는데, 서로 어려운 질문을 할 때는 임성당대사가 항상 우세를 차지했다고 한다. 정관일선이 입적하고 난 뒤에는 대사가 주로 설법하였다. 대사는 각 개인의 근기에 따라 가르치는 것을 기본으로 삼았고, 자기 존재의 본질을 관조해서 스스로 깨달아야 함을 누누이 강조하였다. 여러 스님들에게 “세상 사람들은 영리하게 살아가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 세상일에 대해서도 자기가 잘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하지만 자신의 존재에 대해 물어보면 모두가 모른다고 하니, 애석하고도 슬프다. 너희들은 허세를 부리지 말고 스스로 깨닫도록 노력하라.”라고 하였다. 1638년(인조 16) 4월 1일 세수 72세, 법랍 55세로 입적하였다. 제자로는 각민(覺敏), 지선(智禪), 영신(英信) 등이 있으며 덕유산 구천동에 부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