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삼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임제선사가 학인을 제접하던 3종의 방법으로, 『임제록(臨濟錄)』에 나온다. 어떤 승려가 임제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진불(眞佛)이며, 진법(眞法)이며, 진도(眞道)인지 화상께서 일러 주소서.” 하니, 임제가 답하기를 “불은 심청정(心淸淨)이 그것이고, 법은 심광명(心光明)이 그것이고, 도는 처처무애정광(處處無礙淨光)이 그것이니라. 셋이 곧 하나이니 모두 이름뿐이고 참으로 있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도인은 잠시도 마음이 간단(間斷)하지 않는 법이다. 달마대사가 서천에서 온 이래 오직 남의 유혹을 받지 않을 사람을 찾다가 나중에 이조(二祖)를 만났는데, 한마디에 알아버리고 이전에 하던 공부가 쓸데없는 것인 줄을 알았었다. 나의 오늘 소견은 부처님이나 조사와 다르지 않다. 제1구(句)에서 깨달으면 불조사(佛祖師)가 될 것이고, 제2구에서 깨달으면 인천사(人天師)가 될 것이고, 제3구에서 깨달으면 제 몸도 구제할 수 없으리라.” 하였다. 승려가 다시 물었다. “어떤 것이 제1구입니까?” 하니, 임제가 답하기를 “삼요(三要)의 도장을 찍으니 붉은 인빨이 비좁고, 어찌할 생각을 할 것 없이 주인과 손이 분별되느니라.” 하였다. 승려가 다시 물었다. “어떤 것이 제2구입니까?” 임제가 답하기를 “묘해가 어찌 무착의 물음을 용납하랴마는 방편인들 어찌 동뜬 근기를 저버리겠느냐?” 하였다. 승려가 또 물었다. “어떤 것이 제3구입니까?” 임제가 답하기를 “무대에서 꼭두각시 놀리는 것을 보아라. 앉고 서고 하는 것이 모두 속에 들어 있는 사람의 짓이니라.” 하고는 또 말하기를 “종승(宗乘)을 말하는 데는 1구 가운데 삼현문(三玄門)을 구족하고, 1문 가운데 삼요(三要)를 구족하여 권(權)도 있고 실(實)도 있고, 조(照)도 있고, 용(用)도 있어야 하나니, 그대들은 어떻게 아는가?” 또 “어떤 때의 할(喝)은 금강왕보검(金剛王寶劒)과 같고, 어떤 할은 쭈그리고 앉은 사자와 같고, 어떤 할은 탐간영초(探竿影草)와 같고, 어떤 할은 할하는 작용을 하지 않으니라.” 하였다. 승려가 생각해 보려 하거늘 임제가 문득 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