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사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1)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상원사와 비로봉에 오르는 중간 지점인 치악산 입석대에 있는 사찰로 신라시대 의상이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도하면서부터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그러나 고려 전기의 조각 양식으로 조성한 석탑과 ‘원우오년경오삼월일(元祐五年庚午三月日)’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입석대 마애불좌상을 통해 1090년(선종 7) 무렵에 사찰에 불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중기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 1531~1604)이 저술한 『팔곡집(八谷集)』에 이 사찰과 관련하여 “입석대는 원주의 동쪽 20리에 치악산 위에 있는데, … (중략) … 이른바 입석이라는 이름은 그 아래 정사가 있어 또한 입석이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어 조선 중기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57년 요사채가 건립되고 1992년에는 대웅전이 건립되었다. 2) 경기도 이천시 대덕산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