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중현문
본문
한자1
한자2
ⓢ
ⓟ
ⓣ
뜻(설명)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묘각(妙覺)에 들려 할때 닦는 법문이다. 등각위에서 묘각위에 들려고 할 때 범부지(凡夫地)로부터 현재까지 닦아 왔던 것을 다시 거듭 닦아 낱낱이 도리에 적합하고 명료케 하는 것이다. 천태학에 따르면 이 수행은 별교(別敎)와 원교(圓敎)에 모두 통하는데, 별교 보살은 근본무명(無明)을 쉽게 끊지 못하므로 다시 한번 범부위(凡夫位)로 돌아가 범부의 일을 닦음으로써 수행 향상의 세력을 얻고, 그 세력으로 즉시 무명을 끊는다. 이것을 교도(敎道)의 중현(重玄)이라 한다. 원교 보살은 성품에 맞게 닦는 것이 자재하여 하나의 이치를 깨달으면 3천 가지의 이치를 갖추므로 이치 외에는 별도로 수행이 필요치 않지만, 다만 법계에 두루 응하기 위하여 닦는다. 이것을 증도(證道)의 중현(重玄)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