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경서
본문
한자1
[自警序]
한자2
ⓢ
ⓟ
ⓣ
뜻(설명)
1책. 고려 승려 야운(野雲, 생몰년 미상)의 저술로 1579년(선조 12) 경남 진주 지리산신흥사(神興寺)에서 간행하였다.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과 함께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에 합철되어 있다. 발행년미상인 국립중앙도서관소장본, 1633년 함남안변 설봉산 석왕사(釋王寺) 개간본(장서각 소장), 1635년 전라도 용장사(龍藏寺) 개간본(동국대학교 소장)이 있다. 「자경문(自警文)」은 출가해서수도에 뜻을 둔 초학자들을 경책하기 위해 쓴 글이다. 모두 열 개 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항마다 설명을 곁들이고 그 항이 끝나는곳에 게송(偈頌)을 붙여서 서술한내용을 축약 강조하고 있다. 송(頌)은 불교의 실천 덕목을 남김없이 간직하고 있으며, 형식 또한 미려하여 좌우명처럼 즐겨 외울 수 있도록지은 글이다. 그 때문에 조선시대에 보조(普照)의 「계초심학인문」, 원효의 「발심수행장」과 함께 초학자들을 위한 강원의 교재로 채택되어 널리 읽혔다. 열 개 항은 계율처럼 수행자가 일상적으로 실천해야 할 지침을 담고 있다. 계율은 수행자의 비도덕적 행위를 막는 규율이기때문에 엄격하지만, 자경문은 그것을 스스로 선택하여 결정하도록인도하기 때문에 자율성이 강조된다. 재색(財色)을 경계하고 좋은 벗을 사귀며 수면을 절제하고 남을 미워하지 말며 마음을 평등하게 가지라는 등 쉽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일상적인 일들의 나아갈 방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욕심을 버리고 수행해야 하는이유를 자애로운 어버이처럼 감동적인 언어로 절절하게 호소하고 있다. 저자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으나 조사(祖師)의 공안(公案)을 참구하라는 가르침과 해탈은 혼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선언으로 볼 때, 야운은 간화선을 수행하고 대중 교화에 힘쓴 선사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