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
본문
한자1
[慈藏]
한자2
ⓢ
ⓟ
ⓣ
뜻(설명)
(590~658) 신라시대의 승려. 속성은 김씨, 속명은 선종(善宗)이며, 신라의 진골(眞骨) 소판무림(蘇判茂林)의 아들이다. 부모를 여의고 세상을 싫어하여 처자를 버리고 땅을 내놓아 원녕사를 만들고 고골관(枯骨觀)을 닦았다. 선덕여왕이 정승을 삼으려 불렀으나 “하루 동안 계를 지니다 죽을지언정 계를 파하고 백 년 살기를 원치 않노라.”라고 하며 응하지 않았다. 636년(선덕왕 5) 제자 승실(僧實) 등 10여 인을 데리고 당나라 청량산에 가서문수보살상 앞에 기도하고 가사와 사리를 받았다. 643년 장경(藏經)당번(幢幡)화개(華蓋) 등을 가지고 돌아와서 분황사에 있으면서 왕궁에서 대승의 경론을 강하고황룡사에서 보살계본을설하니, 나라에서 대국통(大國統)을 삼아승려들의 일체 규법을 맡게 하였다. 통도사를 창건하고 계단(戒壇)을 세워 가사와사리를 모시고 사부대중을 교화하였다. 또 여러 곳에 절과 탑을세웠다. 649년(진덕여왕 3)에는 임금께 말하여 당나라 옷차림을 따르게 하고, 650년부터는 신라의 연호(年號)를 폐하고 당나라 연호를 쓰도록 하였다. 그 뒤 강릉군에수다사를 창건하고서 『제경계소(諸經戒疏)』10여 권과 『출관행법(出觀行法)』 1권을 지었다.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원승(圓勝)이 스님을 도와서 율부(律部)를 넓혔고, 태백산 석남원(지금의 정암사)을 창건하였다. 해동 남산율종(南山律宗)의 개조(開祖)가되었다. 『출관행법』『사분율갈마사기(四分律羯磨私記)』『십송률목차기(十誦律木叉記)』『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아미타경의기(阿彌陀經義記)』 등의 저서가 있지만 현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