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잡비유경

본문

한자1
[雜譬喩經]
한자2
뜻(설명)
1) 1권. K1007, T204. 후한(後漢)시대에 지루가참(支婁迦讖, Lokakṣema)이 147년에서 186년 사이에 낙양(洛陽)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신비유경』이라고도 한다. 11가지의 비유담이 들어 있다. 2) 1권. K1014, T205. 번역자 미상. 『후한록(後漢錄)』에 목록이올라 있다. 별칭으로 『보살도인경』이라고도 한다. 29가지의 비유를 통해 보살이 중생들을 제도하여 부처님 법으로 이끄는 인연 이야기 등을 담고 있다. 3) 1권. K1016, T207. 후진(後秦)시대(384~417)에 도략(道略)이 편찬하고, 405년(홍치 7) 구마라집이 번역하였다. ‘작리사사장사미하유(雀離寺師將沙彌下喩)’로부터 ‘범왕장수유(梵王長壽喩)’에 이르는 39가지의 비유 설화를 통해 불교를 믿고 수행해야 함을 강조하는 경전이다. 이역본으로 『백유경(百喩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