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
본문
한자1
[雜阿含經]
한자2
ⓢ
Saṁyuktā-gamasūtra
ⓟ
Saṁyuttanikāya
ⓣ
뜻(설명)
1) 50권. K650, T99. 유송(劉宋)시대에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Guṇabhadra)가 435년부터 443년 사이에 양도(楊都)의 와관사(瓦官寺)에서 번역하였다. 4아함, 혹은 5아함의 하나이다. 이에 상당하는 팔리어 경전에는 총 7,762개의 경이 들어 있다. 4아함 중 짧은 경들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경전으로, 이러한 점은 『잡아함경』이 다른 아함경에 비해 보다 원시적인 형태의 경전이라고 추정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경전에는 부처님의 초기 교설과 함께 부처님을 비롯한 여러 제자들의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나 있어서 깊은 감명을 준다. 또한 그 교설 중에는 후대에 대승불교 사상의 기초가 된 것도 많이 보인다. 이역본으로 『별역잡아함경』 등 여러 경들이 있다. 2) 1권. K745, T101. 번역자 미상. 오(吳)나라 때, 또는 위대(魏代, 222~280)에 번역되었다. 부처님께서 여러 곳에서 설하신 법문들을 집성한 것으로 불교의 기본교리와 교훈을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 구살국(拘薩國)에 계실 때 여러 비구들과 함께 전가(佃家) 바라문의 마을에이르셨는데 전가 바라문이 부처님께 “나는 스스로 밭을 갈고 씨를 뿌려 음식을 먹는다. 그러나 나는 아직 부처가 씨 뿌리는 것을 보지 못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전가 바라문에게 “나는믿음을 씨앗으로 하고 행(行)을 물로 하고 지혜를 소로 하고 부끄러움을 쟁기로 삼는다. 이와 같이 씨를 뿌린다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라고 대답하신 내용을 담고있다. 이 외에도 4력(四力)7처(七處) 3관(三觀) 등의 교리가 설해져 있다. 이 경에는 27개의 경전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중 17개 경전은 『잡아함경』(K650)에 보이며, 13개 경전은 상응부라고 번역되는 팔리어 상윳타 니카야(Saṃyuttanikāya)에서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