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아함경
본문
한자1
[長阿含經]
한자2
ⓢ
Dīrghāga-masūtra
ⓟ
Dīghanikāya
ⓣ
뜻(설명)
K647, T1.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불설(佛說)’이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후진(後秦)시대에 불타야사(佛陀耶舍, Buddhayaśas)와 축불념(竺佛念)이413년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장아함중아함잡아함증일아함(增一阿含)의 4아함(阿含) 가운데 하나로서, 팔리어 불전 중 『장부(長部)』 즉 디가니카야에 해당한다. 『장아함경』의 사분(四分) 22권 30경을 수록하고 있는 반면에 『장부』는 3품 34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아함경』은다른 아함경에 비하여 비교적 분량이 많은 경들로 이루어져 있다. 아함(阿含)은 범어 아가마(agama)의 음역으로서 전(傳)교(敎)법귀(法歸)라는 뜻이며, 대승불교의 경전 성립 이후로는 소승불교의 총칭이 되었다. 남전장경에 의하면 제1결집 때 법문을 외울 때 대가섭(大迦葉)의 물음에 대하여 아난이 대답한 것을 대중들이 외워서 이루어진 것을 오부(五部: 北傳의 4아함)라 했다고하는데, 현존하는 팔리어본 『장부(長部)』와 한역본 『장아함경』을 비교해 보면 원시불교시대의 정치사회종교 내지 철학 사상을 배경으로 한 부처님의 해탈도(解脫道)가 경전의 중추를 이루고 있음으로 보아 『장부』와 『장아함경』 등 5부4아함의 성립 기원은 불멸 후 100년경으로 보인다. 이 원시경전의 하나는 세일론(스리랑카)에전파되어 비교적 원형을 보존하면서도 긴 세월 동안에 부파적 영향과 시대 사상의 영향을 받아 증광개변(增廣改變)되어 현존하는 팔리본 『장부』와 같은 형태로 발달되었고, 이를 남전(南傳)이라 한다. 또 하나는 계빈(罽賓) 지방에 전해져 암송되어 유행하면서, 여기에 서북 인도 특유의 지리적 관계에서 부파의 영향 및 시대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발달하여 북방 논서(論書) 성립 연대로 추정되는 AD 12세기보다이전인 기원 전후에서 1세기의 후반에 이르는 동안 범어로 쓰여서 구성 편찬되었는데, 이것이 『장아함경』의 원본이 되었다. 『장아함경』 중에 산견되는 미륵불(彌勒佛)신앙과 염불 사상, 탑사(塔寺) 공양의 공덕을 설한 사상적 형태는 해탈도(解脫道)의 교리에서 구제도(救濟道)의 신앙으로 나아간 것이며, 이를 드러내기 위하여 『장아함경』이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장아함경』은내용상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 속하면서 다른 부파의 색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