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사
본문
한자1
[長安寺]
한자2
ⓢ
ⓟ
ⓣ
뜻(설명)
1) 충청남도 당진군 신암산에 있던 사찰. 2) 전라북도 익산군 미륵산에 있던 사찰. 3) 전라북도 장수군 영취산에 있던 사찰. 4)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사찰. 673년(문무왕13)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쌍계사라 부르다가 809년 장안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탄 것을 1631년(인조 8) 의월이 중창하고, 1638년(인조 16) 태의가 중건, 1654년(효종 5) 원정학능충묵이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근현대 들어 1948년에는 각현이 대웅전과 부속 건물을 중수했으며, 1987년 종각을 세우고 요사를중창하여 오늘에 이른다. 사찰 뒤쪽에는 원효대사가 수도 중에 중국운제사 대웅전이 무너지는 것을 알고 그 안의 승려들을 구하기위해 소반을 던졌다는 척판암이 있다. 사찰 내 문화재로는 기장 장안사 대웅전(機張長安寺大雄殿)과17세기 중엽에 활약한 수조각승 녹원(鹿元)이 조성한 기장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機張長安寺石造釋迦如來三佛坐像) 등이 있다. 5)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비룡산에 있는 사찰. 1627년(인조 5) 덕잠이 중건, 1755년 법림지욱 등이 중수, 1800년 효일이 중수, 1872년 설곡이중수, 장안암남산사라고도 한다. 6)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 금강산에 있는 사찰. 551년(진흥왕 12) 고구려 승려 혜량이 신라에 귀화하며 창건했다는 전설이 있다. 982년 회정이 중창, 1483년 일청이중건, 1791년 윤사국이 중수, 1842년 조만영이 중수, 1869년 진허연담 등이 중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