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녀암제차사자후요의경
본문
한자1
[長者女菴提遮師子吼了義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K514, T580.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불설(佛說)’이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번역자 미상. 양(梁)나라(502~557) 때 번역되었다. 줄여서 『암제차경(菴提遮經)』이라고도한다. 부처님께서 브라만 장자인 바사니가(婆私膩迦)의 초청을 받아 그의 집을 방문하였을 때, 장자의딸인 암제차가 문수사리의 질문에 대해 상무상(常無常)공불공(空不空)의 깊은 뜻과 여인의 신상(身相) 등에 대해 사자후를 하자 비구와 천인(天人)들이보리심을 내었고, 부처님께서는 문수사리에게 암제차가 장차 정각(正覺)을 이룰 것이라고말씀하신 내용을 담고 있는 경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