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본문
한자1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한자2
ⓢ
ⓟ
ⓣ
뜻(설명)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가지산(迦智山)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봉안된 불상.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철로 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뒷면에 858년(헌안왕 2)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입 등에서 약간의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다소 추상화된 모습이다. 통일신라 전성기(8세기)의 불상에 비해 긴장감과 탄력성이 줄어들었고, 양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앞에서 U자형으로 모아지며, 다시 두 팔에 걸쳐 무릎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옷주름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지만 탄력을 잃은 모습이다. 이런 형태의 표현은 신라 불상에서 보여주던 이상적인 조형감각이후퇴하고 도식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9세기 후반 불상 양식의 대표적 특징이라고 할수 있다. 손은 왼손의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비로자나불이 취하는일반적인 손 모양이다. 이 작품은 만든연대가 확실하여 당시 유사한 비로자나불상의 계보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신라 말부터 고려 초에 걸쳐 유행한 철로 만든 불상의 첫번째 예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