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승촌
본문
한자1
[在家僧村]
한자2
ⓢ
ⓟ
ⓣ
뜻(설명)
함경북도 경흥경원회령종성부령온성 등의 각 고을 부근의산골에 모여 살면서 머리는 깎았으나 고기를 먹으며 처자를 거느려 출가자도아니고 온전한 속인도 아닌 신분으로 모여 살던 특수한 무리들을 가리킨다. 그들이 사는 마을을 산문(山門)이라 하고, 산문마다 불당(佛堂)이 있어 불상을 모셨으며, 혼인이나 장사 지내는 예식을 이 사찰에서 행하였다. 남자들은 종이를 만들고 여자들은 베를 짜며, 또 농사도 짓는 등 극히 하천한 계급에 속하며 일반 사람들과는 서로 혼인하지 않았다. 이들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말이 있으나 그 하나는 조선인조 병자호란 당시 조선과 청나라 간에 젖 큰 여자 3천 명암말 3천 필을 청나라에서 요구할 때 보내주기로조약을 맺었으므로, 조정에서 여진족(女眞族)의 후손들을 모집하여 산골짜기에서 살게 하다가 필요할 때 뽑기로 한 것이라 하기도 하고, 또 하나는 고려의 윤관(尹灌)이 여진족을 몰아내고 남아 있는 사람들을 구역을 정하여살게 한 것이라고도 한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재가화상들은 가사도 입지 않고, 계율도 지키지 않고, 처자들을 데리고 살면서 물건을 운반하고, 길을 소제하며, 개울을 치고, 성을 쌓으며, 국경에 싸움이 있을 때는 단결하여 나서서 방어하는 일에 당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