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멸시중론
본문
한자1
[寂滅示衆論]
한자2
ⓢ
ⓟ
ⓣ
뜻(설명)
1책. 조선 초기 선승 말계지은(末繼智訔, 1387~1465)이 선의 요지를 종합하고 열반의 도를 설한 서적으로 1481년(성종 12) 강원도 원주 치악산 상원암(上院庵)에서 간행하였다. 이 책은 논설과 운문이 결합된 복합적 텍스트로 앞부분에는 논설 「적멸시중론」이, 뒷부분에는 경기체가(景幾體歌) 형식의 「기우자목동가(騎牛子牧童歌)」가 수록되어 있다. 「적멸시중론」은 세 편의 논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논설에는 게송이 함께 실려 있다. 논설 1은 공(空)과 적멸(寂滅)에 대한 설명과 문답, 논설 2는 무상(無相)에대한 문답, 논설 3은 과거의 불보살과 많은 성인들이 선지식을 찾아 정법(正法)을 듣고 오랜 세월 고행 후에 정각을 성취하고 선정을 닦았던 것을 소개한다. 따라서 후학들은 본성을 끝까지 통달한 후 경론을 보아야 하며, 그 후 법이 공함을 한 생각에 깨닫는다면 궁극적으로 도를 이루게 된다. 「기우자목동가」는 서사(1~2장), 본사(3~10장), 결사(11~12장)로 구성되어 있다. 본사는다시 3~7장까지의 상구보리(上求菩提)의 증득 단락과 8~10장까지의 하화중생(下化衆生)의실천행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적멸시중론」의 설법 내용을 요약하고 뚜렷하게 제시한다. 이 책에 보이는 저자의 선사상은 보조지눌(普照知訥)의 돈오점수설(頓悟漸修說)에 매우 가까운 것이기는 하지만, 지눌과 달리 선의 의리(義理)를 강력한 중생 구제의 방향으로 전개시킨다. 보조지눌의 선사상의 요체를 나름대로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좀 더 실천적인 방향에서 재인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이 책은 숭유억불책(崇儒抑佛策)이 강화되는 조선 초 성종(成宗) 대에 전법(傳法)과 중생 구제의효과적인 선법을 제시하여 불교 수행자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등 시대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