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적조신변삼마지경

본문

한자1
[寂照神變三摩地經]
한자2
Praśāntaviniścayaprātihāryasamādhisūtra
뜻(설명)
1권. K482, T648.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63년 또는 664년에 옥화사(玉華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적조신변경』이라고 한다. 적조신변삼매의 의의와 공덕을 설한 경전이다. 설처(說處)는 왕사성의 취봉산(鷲峰山)이며, 내용의 3분의 2가 서분(序分)으로 되어 있다. 정종분(正宗分)에서 현호(賢護)보살이 부처님께 보살의 의처(依處)대혜지(大慧智) 등을 질문하자, 부처님께서 보살은 적조신변삼마지에 안주하여 불지(佛地)를 섭수(攝受)한다고 설하신다. 또 적조신변삼마지란 여실하게 일체법을 깨달아 그 상(相)에 통달함으로써 번뇌와탐착을 버리고 깨달음을 이루는 것이라고 말씀하시고, 이것으로 정려(靜慮)해탈등지(等持)등지(等至)전변(轉變) 자재 등을 얻는다고 강조하신다. 서장역본은 3부로 되어 있는데, 이 경은 그 초부(初部)에해당한다. 경의 내용 가운데 “유가사지보살소행” 등의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유가(瑜伽) 사상 발생 이후에저술된 것으로 보이며, 화엄(華嚴) 사상이나 유가 사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