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본문
한자1
[丁若鏞]
한자2
ⓢ
ⓟ
ⓣ
뜻(설명)
자는 미용(美鏞, 1762~1836)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남인 가문 출신이다. 진주목사(晋州牧使)를 역임했던 정재원(丁載遠)과 해남 윤 씨 사이에서 4남 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조선 후기 유학자이자실학자로서 정조(正祖) 연간에 문신으로 사환(仕宦)했으나,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西學)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18년간 전남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는데 이 유배 기간 동안 그는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방대한양의 전집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일표이서(一表二書: 『經世遺表』『牧民心書』『欽欽新書』)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이 저술들을 통해서 조선후기 실학 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된다. 유배기에 아암혜장(兒庵惠藏)을 비롯한 인근사찰의 학승들과 교유하면서 학문을 가르쳤고, 『대둔사지(大芚寺志)』와 『만덕사지萬德寺志)』 편찬 때는 고증을 통해 논증하여기록하였다. 18세기 후반에 조선의 지식인들은 당쟁의 과정에서 오랫동안 정치 참여로부터 소외되었던 근기(近畿) 지방의 남인들을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통치 방식에 회의를 가졌는데,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들이 존중하는 성리설과는 달리 선진 유학에 기초한 새로운 개혁의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정약용은 바로 이 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태어났고, 일찍부터 이러한 분위기를 접하게 되었다. 그가 태어난 양근(楊根: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는 훗날의 연구자들로부터 실학자로 불리게 된 일군의 학자들이 새로운 학풍을 형성해 가던 곳이었다. 그는 이익(李瀷)의 학통을이어받아 발전시켰으며, 각종 사회 개혁 사상을 제시하여 새로운 나라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역사 현상의 전반에 걸쳐 전개된 그의 사상은 조선왕조의 기존 질서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일종의 혁명론이기보다는 파탄에 이른 당시의 사회를 개조하여 조선왕조의 질서를 새롭게 강화시키려는 의도를가지고 있었다. 조선에 왕조적 질서를 확립하고 유교적 사회에서 중시해 오던 왕도정치(王道政治)의 이념을 구현하여 ‘국태민안(國泰民安)’이라는 이상적 상황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