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감주
본문
한자1
[淨土紺珠]
한자2
ⓢ
ⓟ
ⓣ
뜻(설명)
(목판본. 1책. 19.6×13.6cm.) 조선 후기 승려 허주덕진(虛舟德眞, 1815~1888)이 정토의 법수를 해설한 주석서로 1882년(고종 19) 경기도 파주 고령산 보광사(普光寺) 정원사(淨願社)에서 개간하였다. 『한국불교전서』 제11책에 실려 있다. 덕진은 어려서 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해서 홀로 선정을닦고 학문을 성취하였으며, 영산경순(影山敬淳)과 함께 조선 후기의 가장 뛰어난 선지식으로 유명했다. 책의 첫머리에는 1879년(고종 16) 6월 노련거사가 작성한 서문과 동년 5월에 편저자가 쓴 「자서(自序)」, 「예언(例言)」, 「인용서목(因用書目)」이 있다. 그다음에는 ‘일심(一心)’으로부터 ‘사십팔원(四十八願)’에 이르기까지 정토와 관련된 법수(法數)에 대한 개념을설명하였다. 또한 법수를 설명한 증거 자료로 경전과 논서를 인용한 관련 구절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책의 말미에 1880년(고종 17) 3월 유엽(劉燁)이 기술한 발문이있다. 「자서」에서 허주덕진은 1879년(고종 16) 기묘년 가을 법당산(法幢山) 혜정사(慧正寺)에 주석하고 있었는데, 어느 손님이 찾아와 대화하는 가운데 자신이 본서를저술하게 된 연유를 피력하였다. 즉 그가 저술한 목적은 어려운 임제선보다는 쉽고 수행하기 쉬운 염불을통해서 일반인들을 서방 정토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정토삼부경을 비롯한 『대보적경(大寶積經)』 등 무려 41종의 경전과 논서에서 정토와 관련된 문구를 적출하여 143종류를 157가지로 나누어 용어를설명하였다. 나아가 그 용어를 설명한 아래에 그 구절을 인용한 경전이나 저서의 제목을 수록하여 증거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