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
본문
한자1
[鼎鎬]
한자2
ⓢ
ⓟ
ⓣ
뜻(설명)
(1870~1948) 구한말 승려. 호는 영호(映湖), 자는 한영(漢永). 속성은 박씨. 전북 완주군(完州郡) 초포면(草浦面) 조사리(鳥沙里)에서 태어났다. 19세에 전주 위봉사(威鳳寺) 금산(錦山) 문하로 출가하였다. 1890년 백양사 운문암환응(幻應)에게서사교(四敎)를, 순천 선암사 경운에게서 대교(大敎)를 배우고, 구암사 설유처명(雪乳處明)의 법을 받았다. 26세에 구암사에서 개강한 뒤로 해인사법주사대원사화엄사범어사 등 여러 곳에서 학인들을 가르쳤다. 1908년부터는 쇠퇴하는 한국불교를 혁신하려는 뜻을 품고서울에 가서 만해한용운 등과 함께 교단을 혁신하고자 불교 유신 운동에 주력하였다. 1911년 해인사 주지 회광(晦光)이 일본 조동종과 연합 조약을 체결한 것에 용운(龍雲)진응(震應)금봉(錦峯)과 함께 반대 운동을 일으켜 그 조약을 무효로 돌렸다. 1926년부터 서울 동대문 밖개운사에서 청년 학도들에게 『선문염송(禪門拈頌)』을 강의하였고, 1933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장을 맡았다. 운허(耘虛)서정주(徐廷柱) 등이 그 문하에서 배웠다. 1945년 정읍 내장사에 있다가 3년 뒤에 세수 79세, 법랍 67세로 입적하였다. 시와 글에 뛰어났으며 저서로는 『석전시초(石顚詩鈔)』『석림수필(石林隨筆)』『석림초』『정선염송설화(精選拈頌說話)』『염송신편(拈頌新編)』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