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경회요
본문
한자1
[諸經會要]
한자2
ⓢ
ⓟ
ⓣ
뜻(설명)
1) (목판절첩본. 31.8×11.4cm.) 조선시대 승려 묵암최눌(默庵㝡訥, 1717~1790)의 저작. 전남 곡성 동리산 태안사(泰安寺)에서 발행하였다. 발행 시기는 미상이다. 최눌의 제자 와월교평(臥月敎萍)이 중간(重刊)한 태안사유판본(留板本)과다수의 필사본이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여러 경론의 핵심 내용과 중요 법상을 도표로 만들어 16절의 절첩(折帖)에 기록한책으로, 여기에는 화엄십례과욕현난사도(華嚴十例科欲顯難思圖), 사법계십문도(四法界十門圖), 성상유식도(性相唯識圖) 등 모두 23개 항목의 개념 설명을 도표로 나타낸다. 화엄 사상, 유식 사상, 『기신론』의 「대총상법문(大摠相法門)」, 『원각경』의 「이십오종청정정륜(二十五種淸淨定輪)」 등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파악할 수 있도록도표로 만들었기 때문에 경론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화엄원각반야능엄 등 대승경전의 주요 내용뿐만 아니라 유식과 기신론의 사상, 선종의 종파도(宗派圖)와 여래삼처전심(如來三處傳心), 소승의 오위총상도(五位摠相圖)이십부파도(二十部派圖) 등 대소승의 모든 법상들을 망라하고 있다. 경론의 의미나 법상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그것을 도식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저자의 박학함과 당시 불교학계의 학문적 수준을 알기에충분하다. 이 『제경회요』는 사기(私記)와 함께 조선불교 연구에있어서 주목해야 할 문헌이다. 2) 1권. 연담(蓮潭) 지음. 현존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