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도리사석탑
본문
한자1
[龜尾桃李寺石塔]
한자2
ⓢ
ⓟ
ⓣ
뜻(설명)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태조산 도리사의 대웅전 앞뜰에 있는 석탑.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모전석탑 계열로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5층탑으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탑은 기단, 몸체, 머리 장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2층 혹은 3층으로 추정되고 탑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맨아랫층의 기단(基壇)은 탑의 비율상 매우 높은 편이다. 그 위의 2개층은 탑의 중심 부분인 탑신부(塔身部)이다. 탑신부의 두 층은 모두 작은 정사각형의 돌을 벽돌처럼 각각 3단과 2단으로 쌓아올렸다. 지붕돌 역시 벽돌탑을 모방한 듯이 각각 층단을 이루고 있다. 탑신부의 1층과 2층은 각각 한 면에 문틀을 돋을새김한 널돌이 끼워져 있어 마치 문짝 모양을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벽돌을 쌓아올린 형태가 아닌 맨 위의 2개층은 탑의 머리 장식 받침인 노반(露盤)이 포개진 것인지 아니면 위층만 노반이고 아래층은 탑신부로 보아야 하는지가 분명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