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제반문

본문

한자1
[諸般文]
한자2
뜻(설명)
1권 1책. 불교의식집. 1권 1책. 목판본. 우리나라 사찰에서 행하여진 일상의 의식문을 한데모아 열람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청문(請文)에 시왕나한사자(使者)관음가사(袈裟)제석제불에 대한 청이 있고, 다음으로 시식문(施食文)이 있다. 점안문(點眼文)에는 불(佛)나한탑상(塔像)시왕천왕의점안문 등이 있다. 끝부분에 삭발문(削髮文)과 성도재문(成道齋文)재의문(齋儀文)이 실려 있는데, 재의문에는 칠성(七星)현왕(現王)지장독성(獨聖) 등이 병기되어 있다. 1575년의 보림사 개간본을 필두로, 1580년과 1691년 및 1695년 서봉사개간본, 1639년 통도사 개간본, 1647년 보현사 개간본, 1651년과 1719년 해인사 개간본, 1652년 개흥사 개간본, 1662년 징광사 개간본, 1670년 갑사 개간본, 1670년 신흥사 개간본, 1691년 용흥사 개간본, 1694년 금산사 개간본, 1702년 감로사 개간본, 1769년 봉정사 개간본 등이 현존한다. 이 가운데 1719년 해인사 개간본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각 간본마다 내용과 편차에 차이가 있다.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 간행된 대표적인 불교 의식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