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제석사

본문

한자1
[帝釋寺]
한자2
뜻(설명)
1)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리 도천산(到天山)에 있는 사찰. 「제석사중수기념비」에는 1625년(인조 3) 유찬(惟贊)이 창건하였다고 되어 있으나, 『삼국유사』의 “원효대사가 자신이태어난 곳과 살던집에 절을 세워 각각 사라사(娑羅)와 초개사(初開寺)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에 주목하여 제석사가 곧 사라사라고 보기도 한다. 1802년(순조 2) 손대권이 중창. 1910년(순종 4) 월파가 3창. 1933년 만호가 중수. 대웅전, 원효대사의 생애를 묘사한 팔상도와 원효대사상을 봉안한 원효성사전(元曉聖師殿)산신각을 비롯하여 요사채인 안심료(安心寮) 등이 있다. 2) 제주도 제주시 신성로길에 있는 사찰로 처음에는 1902년 독지골 노인이 수행하던 제단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1928년 우바이인 고자선이 포교 수행을 위해 이 제단을 제석단이라 이름하고, 원불당(願佛堂)으로 개수하여포교 수행 도량으로 거듭났다. 1935년 4월에는사찰 건립을 마무리하고, 1938년에는 전라북도 남원시의 실상사 제석암 포교당이 되면서 1990년 중건 불사를 통해 불법 홍포를 본격적으로 하게 되었다. 사찰 내부에는 제석샘이 있으며 제석당 안에 제석신을 모시고 있어 제주도 사찰 가운데 유일하게 제석 신앙과 연관 있는사찰로 평가받고 있다. 3) 평안북도 정주시 오산동 서북쪽 제석산(帝釋山)에 있던 사찰. 1970년경에 폐사하였다. 4) 평양직할시 강동군 강동읍 구룡산(九龍山)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