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고승전
본문
한자1
[曹溪高僧傳]
한자2
ⓢ
ⓟ
ⓣ
뜻(설명)
(불분권 1책. 24.1×16.6cm) 조선 말기 승려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이 저술한 고승의 전기로 1920년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松廣寺) 다송실(茶松室)에서 발행하였다. 1920년에 쓴 편자의 서문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역대 승전(僧傳) 편찬의 역사를 개괄하며 근래의 성과로 범해각안(梵海覺岸)의 『동사열전(東師列傳)』을 들고 있다. 이어 보조지눌이 선종과 교종을 아울러 조계종을 창설하였음을 강조하고, 지눌 이후 조계종의 유파를 이 책에서 정리했다고 편술의 동기를 밝힌다. 본문에는 「대조계종주불일보조국사전(大曹溪宗主佛日普照國師傳)」을 시작으로 송광사 16국사(國師)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고, 태고보우(太古普愚)에서 청허휴정(淸虛休靜) 및 부휴선수(浮休善修)로 이어지는 태고 법통의 조선시대 계보를 포함시켰다. 한편 송광사에 주석한 나옹혜근(懶翁惠勤)과제자 무학자초(無學自超) 등 여말선초 불교계의 주류였던 나옹계(懶翁系) 승려들의 전기도 채록하였다. 조선 후기의 최대 계파인 청허계(淸虛系) 승려들은 거의 배제하고 대신에 편자가 속한 부휴계 고승들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다. 이처럼 송광사를 본거지로 해서 지눌의 사상적 유풍을 계승, 선양한 조선 후기 부휴계의 입장에서 조계종과 부휴계의 정통성을 표명하고 있다는 점이 이책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