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사
본문
한자1
[曹溪寺]
한자2
ⓢ
ⓟ
ⓣ
뜻(설명)
1)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에 있는 사찰. 한국불교의중앙 기관. 일제강점기 때의 사찰령에 의하여 31개 본말사로 구분되어 산만하던 불교 교단을 통일하기 위하여 1929년에 각지를 대표하는스님들이 각황사(覺皇寺)에서 승려대회를 열고 종회법(宗會法)을 제정하였으며, 1935년에는 데라우치(寺內)총독 주도로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긴박하게 몰아붙이던 시절에 자주적 교권을 바라던사부대중의 염원을 충족시키고자 1937년에 각황사를 현재의 조계사 터로 옮기기 시작하여 17만 원의 경비로 다음 해인 1938년 10월에준공하고 삼각산 등안봉(登岸峰) 밑 태고대(太古臺) 아래에 있었던 태고사(太古寺)를 이전하는 형식을 취하여 태고사라는 이름으로 한국불교 총본산이 되었다.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 총본사인 태고사법(太古寺法)의 인가를 받아 조선불교 조계종이 발족하면서 초대 종정에 한암(漢岩)스님이 추대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5년 9월에 사찰에서 전국승려대회를 개최하여 일제강점기에 제정된 사찰령과 태고사법 폐지를 결의하고 조선불교 교헌(敎憲)을 다시 만드는동시에 교정(敎正)에 한영정호(漢映鼎鎬)를, 총무원장에 범산법린(梵山法麟)을 각각 선출했다. 1955년 한국불교 정화 운동이 성취되면서 조계사로 개명하였다. 천연기념물 수송동 백송(白松, 수령 500년)이 있다. 2) 경상북도 경산시 마안산에 있던 사찰. 3) 평안북도 운전군 반룡산(盤龍山)에 있던 사찰. 일명 조계사(漕溪寺)라고 한다.